2025년 예비군 훈련은 제도와 명칭이 대폭 개편되었습니다.
오늘은 예비군 6년차 이상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조기퇴소 방법부터, 훈련 일정 변경, 준비물, 급여, 연차 사용 여부 등 실질적인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2025년 예비군 훈련 명칭 및 제도 변경 사항
- 동원훈련 → 동원훈련 I형
- 동미참훈련 → 동원훈련 II형
- 비상근예비군 → 상비예비군
- 보상비 → 훈련비로 통합 (훈련비 + 교통비 + 급식비)
- 작계훈련 교통비 하루 3천 원 지급
- 동원훈련 II형도 하루 1만 원 훈련비 지급
- 지연 입소 허용 시간: 기존 09:30 → 10:00로 연장
2. 2025년 예비군 훈련 일정 및 변경 방법
- 연 2회 실시: 전반기(3월), 후반기(9월)
-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훈련 일정 및 지역 선택 가능 (시범운영 중)
- 신청 기간: 훈련 1개월 전부터 3일 전까지
- 하루 전 변경은 반드시 전화로 중대에 문의해야 함
3. 2025년 예비군 훈련 준비물 및 군복 대여
- 신분증: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
- 전투복 및 전투화: 개인 군복 착용 권장
-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훈련 7일 전까지 중대에 신청해 대여 가능
4. 예비군 조기퇴소 방법 (6년차 필독!!!)
- 2025년부터도 예비군 6년차는 원격교육을 통해 후반기 훈련(작계훈련)의 시간 단축이 가능합니다.
-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4~6월 사이 2시간짜리 원격교육을 이수하면, 9월 작계훈련 시 6시간 중 2시간을 감면받아 4시간 훈련 후 조기퇴소할 수 있습니다.
- 원격교육은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24시간 언제든지 접속해서 진행하면 됩니다.
- 원격교육은 지역방위작전 수행절차, 후방지역 적 위협, 핵 및 화생방 방호, 응급처치 총 4개 과목이고 과목별로 30분씩 진행됩니다.
- 안내는 카카오톡 또는 문자로 발송되며, 반드시 사전에 수강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5. 2025년 예비군 훈련비 및 불참 시 벌금
- 작계훈련: 16,000원 (급식비 8,000원 + 교통비 8,000원)
- 동원훈련 I형: 4박 5일 기준 90,000원 이상
- 동원훈련 II형: 1일 10,000원 추가 지급 (신설)
- 불참 시 과태료: 1회 최대 30만 원 / 고의 불참 시 징역 또는 100만 원 벌금
6. 회사 연차 사용 여부 및 출근 인정
- 법적으로 연차 강제 소모 불가
- 참석 확인서를 회사에 제출하면 출근 인정 가능
- 대기업, 공무원: 유급휴가 처리
- 중소기업, 프리랜서: 사규나 계약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 확인 필요
7. 기타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조기퇴소해도 훈련비 받을 수 있나요?
네. 원격교육 이수 후 조기퇴소하더라도 훈련비(급식비+교통비)는 전액 지급됩니다.
Q2. 훈련 중 핸드폰 사용 가능한가요?
훈련 시간에는 제한되며, 점심시간 및 휴식 시간에는 사용 가능합니다.
Q3. 훈련 연기 사유가 되려면 어떤 조건이 있나요?
기능 경기, 콩쿠르 참가 등은 예비군 편성 전 6회 한정으로 훈련 연기 가능합니다.
2025년은 예비군 훈련 제도가 크게 바뀐 해입니다.
예비군 6년차라면 원격교육을 통해 조기퇴소 기회를 꼭 활용하세요. 또한 훈련 일정 변경이 유연해졌고, 훈련비도 확대 지급되는 만큼 이전보다 효율적이고 부담도 줄어들었습니다.
훈련 전 준비물을 미리 챙기고, 훈련 일정을 회사에 공유해 불이익 없이 잘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코레일 대학생 할인 총정리: 청소년 드림부터 KTX 힘내라 청춘 이용 꿀팁까지 (0) | 2025.04.14 |
---|---|
중고등학교 내신 기출문제, 이제부터는 학교에서 확인하세요 (0) | 2025.04.13 |
2025년 코레일 힘내라 청춘 KTX 할인(대상,등록 방법 및 할인 예매 방법) (0) | 2025.04.12 |
2025년 과학문화바우처 5만원 받기(지원 대상, 신청 방법, 신청 기간) (4) | 2025.04.11 |
2025년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 총정리(지원 대상, 신청방법) (0) | 2025.04.10 |